[관련 기사] [로터리] 자율주행차 상용화 전략
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
2025-03-20
97

최근 자율주행 기술은 기존의 규칙 기반(Rule-based) 방식에서 인지·판단·제어 모두 인공지능(AI) 모델로 구성하는 ‘E2E(End-to-End)’ 방식으로 변화하며 업계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테슬라를 필두로 현대자동차까지 주요 기업들이 E2E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이는 자율주행 분야의 필수 요소가 됐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들이 추진 중인 E2E 방식으로 국내 기업이 접근한다고 자율주행 분야의 선두 그룹으로 치고 나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E2E 방식은 엄청난 컴퓨팅 파워와 방대한 데이터 학습을 필요로 한다.
우리와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규모와 데이터 수집 능력은 큰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업체들이 레벨3 이상보다는 레벨2 수준(운전자의 전방 주시 필요)에서 손을 떼는 것이 가능한 운전 보조 기능에 집중하며 시장을 관망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나라에 특화된 운전자 없는 무인 자율주행 기반 서비스의 활성화는 더딘 것처럼 보인다.
그 이유 중 하나로 업계에서는 무인 자율주행에 대한 명확한 안전 가이드라인의 부재를 꼽는다.
우리나라는 현재 무인 자율주행의 허가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국내에서 자율주행이 발전해 나가려면 각 부처가 시작부터 완벽한 제도를 고민하기보다는 자율주행에 대한 별도 보조금을 편성하거나 기존 규제의 신속한 면제에 집중하는 등
범부처 관점에서 자율주행 서비스의 안정적 도입에 관심을 갖고 지원에 나서야 한다.
기존 운수 업계 등 이해관계자와의 상생 모델을 국회·정부에서 제시하는 방안도 필요해 보인다.
(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