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자율주행, 한국 '추격자' 위치…올해부터 실증 사업 본격 추진
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
2025-03-07
105

자율주행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한국도 이러한 흐름에 맞춰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선진국들과의 기술 격차는 여전하다.
현재 국토교통부는 2027년까지 레벨4 수준의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확대, 관련 법규 정비, 인프라 구축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는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다양한 실증 사업이 추진된다.
주목할 만한 계획은 전국 고속도로 44개 노선, 총 5224㎞에 대한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지정이다.
이는 기존 4개 노선 332.3㎞에서 대폭 확대된 것으로 택배부터 대형화물까지 다양한 화물차의 자율주행 시대가 본격 개막됨을 의미한다.
이번 결정에는 자율주행 업계의 강력한 의견이 반영됐다.
교통상황에 따른 운송노선 변경과 신규 운송수요에 따른 노선 신설 등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시범운행지구 확대와 함께 화물 유상운송 서비스도 본격 시행된다.
국토부는 안전성 검증을 위한 고속주행 사전테스트 등을 거쳐 신속히 허가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기술 발전의 핵심은 데이터다.
안전하고 풍부한 데이터셋은 완전 자율주행을 위해 필수적이며, 이는 자율주행 AI 모델을 훈련, 검증 및 테스트하는 데 사용되는 구조화된 데이터의 집합이다.
그러나 기업 단독으로는 데이터 수집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미 북미·유럽 정부는 데이터셋을 통한 자율주행 패권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한 자율주행 스타트업 관계자는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해서는 고품질 데이터셋 확보가 핵심"이라며
"특히 한국의 복잡한 도로 환경과 계절적 특성을 반영한 데이터셋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중략)...